home
세이브더칠드런
  • 뉴스와 소식
  • 공지사항 | 새소식 | 채용
  • 후원하기
    참여하기
    자료실
    마이페이지
    마이페이지
    세이브더칠드런
    회원전용 서비스입니다.


    '이상한 정상가족'....'비상한' 세칠 사람들이 쓴 책 3권

    작성일 2018-02-09 조회 1795

    '이상한 정상가족'....'비상한' 세칠 사람들이 쓴 책 3권

    ― '세칠' 활동 진액 담은 '세계의 빈곤' '놀이터를 지켜라' 등 


    문재인 대통령이 읽고 저자에게 격려 메시지를 보냈다고 하는 바로 그 책! <이상한 정상가족>은 세이브더칠드런에 6년간 아동권리 옹호활동을 벌였던 김희경 전 사업본부장이 썼습니다. 모든 챕터가 한국 사회 고정관념을 흔드는 ‘내가 니 애비다’급 충격입니다. 이 책 뿐 아닙니다. 빈곤이라는 어려운 주제를 구조적 역사적 맥락을 짚으며 아이들이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말로 풀어낸 <세계의 빈곤-게을러서 가난한 게 아니야>는 김현주 국제옹호 팀장의 솜씨입니다. 제충만 권리옹호팀 대리가 쓴 <놀이터를 지켜라>도 있습니다. 폐쇄 위기 놀이터 2곳을 다시 동네의 따뜻한 둥지로 탈바꿈시키는 과정입니다. 이 세 책에는 세이브더칠드런이 대체 무슨 활동을 왜 하고 있는지 그 ‘진액’이 담겼습니다.


     아동학대의 공범자들은?  


    뭔가 이상합니다. 낮은 출산율을 걱정하면서 2016년 한 해 아기 302명이 버려졌고 334명을 해외로 입양 보낸 나라. <이상한 정상가족>은 이 모순의 원인과 해법을 제시한 책입니다. 현장의 고민과 공시적 통시적 자료를 그러모은 이 책의 주장은 혁신적이고 명료합니다.


    한국 현실의 압축판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 가족의 실상은 어떤지, 저자는 가족 내 가장 약자인 아동의 시선으로 분석합니다. 해외 입양, 체벌, 미혼모 차별, 헬교육 등을 두루 훑은 저자가 지목한 것은 ‘가부장적 가족주의’. 이른바 ‘정상가족’이라는 개념 앞에서 아이들은 한 개인이 아니라 부모의 소유물이 되고 ‘정상가족’ 틀 밖 아이들은 내침의 대상이 됩니다. 이 공고한 ‘이상’ 안에서 체벌은 ‘훈육’이 됩니다. “버릇이 없어서..” 부러진 갈비뼈가 폐를 찔러 숨진 서현이의 죽음은 이 말에서 시작했습니다. 여러 아동학대 진상조사위 등에서 활동한 저자는 체벌과 학대 사이 “거리는 없다”고 확언합니다.


    스웨덴, 1979년 모든 체벌을 법으로 금지했습니다. 가족 안 가장 약자인 아동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서 국가는 ‘가족’에 개입합니다. 동시에 공공의 영역을 넓혀 가족의 짐을 덜어줍니다. 체벌 금지 법제화 이후 아동학대로 스톡홀름 병원에 의뢰된 아이들의 숫자가 1970년에 비해 1994년에는 6분의 1로 줄어들었고 2000년 이후에는 학대로 숨진 아이들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합니다. ‘가족’이라는 말이 이상적인 연대인 것처럼 폭넓게 쓰이는 한국, 2016년 한해 28명 아이들이 학대로 숨졌습니다. ‘개인주의적’인 스웨덴 아버지가 아이들과 보내는 하루 평균 시간은 300분입니다. 한국? 6분입니다. “자율적이고 평등한 개개인 사이에서만 사랑과 우정 같은 인간적 교류가 이루어진다.” 공공의 영역이 확대되어야, 그래서 개인이 자유로워야, ‘진짜’ 가족도 가능한 까닭입니다.


    아동학대 예방 정책을 촉구하는 한 집회에서 김희경 전 사업본부장이 성명을 읽고 있습니다.


    진흙 먹어야 하는 아이티, 게을러서?


    ‘진흙 쿠키’. 남아메리카 아이티 아동들이 먹고 있는 이 ‘과자’는 비유가 아니라 진짜 진흙으로 만듭니다. 먹을 게 부족한 탓이죠. 그런데 1980년대까지 아이티는 쌀 수출국이었습니다. 그간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아이티가 국제통화기금(IMF)에 빚을 집니다. 국제통화기금은 돈을 꿔주는 대가로 쌀 시장 완전 개방을 요구합니다. 그러니 미국에서 기계로 대규모 재배한 쌀이 싼값으로 아이티로 들어옵니다. 아이티 농부들은 농사를 포기하고 도시 빈민이 됩니다. 아이티 사람들이 ‘진흙 쿠키’로 허기를 때우는 게 그들이 게으르기 때문일까요? 


    이 이야기는 김현주 국제옹호 팀장이 쓴 <세계의 빈곤-게을러서 가난한 게 아니야>에서 추린 것입니다. 어린이 책인데 어른들에게도 권할 만합니다. 세계인구가 100명이라면, 이 가운데 20명은 영양실조, 15명은 비만입니다. 왜 이럴까요? 쉬운 말로 쓴 이 책은 빈곤이라는 어려운 주제를 그 역사적, 구조적 원인까지 두루 파헤쳐 소개합니다. 식민지 통치 기간 영국은 자국 산업을 배 불리기 위해 인도 농민들에게 목화를 재배하도록 강제합니다. 그 결과는 인도를 덮친 대기근입니다. 저자는 또 지금 신자유주의, 세계화라 불리는 선진국의 '경기 규칙’을 어린이 팀과 프로 팀이 아무런 조건 없이 맞붙으라는 ‘불공정 게임’이라고 지적합니다.


    오래되고 구조적 문제라니 우리가 뭘 할 수 있나. 맥이 빠질 수 있습니다만, 함께하면 이를 바꿀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일상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있습니다. 질문입니다. 슈퍼에서 커피를 살 때, 관광을 갈 때도 가난한 사람들을 착취하는 소비는 무엇인지 질문하고 고민해야 한다는 겁니다. 우리와 함께 사는 그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이 질문을 하는 것은 자선이 아니라 우리의 '책임'임을, 인간다운 삶은 그들의 ‘권리’임을 저자는 강조합니다.
     

    세이브더칠드런 붉은 티셔츠를 입은 사람이 김현주 국제옹호 팀장


    좋은 놀이터? 당신의 놀이터!


    ‘고작’ 놀이터 두 곳 바꿨다 할지 모르겠습니다. 이 책을 다 보시면 앞 문장에서 ‘고작’을 빼게 될 겁니다. 제충만 권리옹호팀 대리가 쓴 <놀이터를 지켜라>는 세이브더칠드런이 폐쇄될 위기에 놓인 서울 중랑구 세화, 상봉 놀이터 두 곳을 아이들이 모이는 진짜 놀이터로 바꾸는 586일의 기록입니다. 제 대리가 판 발품, 어마어마합니다. 자기반성으로 수많은 날들을 보냈습니다. 산더미 같은 기획서는 깨지기 일쑤였습니다. 세상의 모든 대리들처럼 제 대리도 참 자주 웁니다.


    놀이터를 다시 만드는 데 대놓고 “나는 반댈세”를 외쳤던 동네 할머니가 놀이터 지킴이가 되고, 동네 아이들이 지나가는 말로 “이제 미끄럼틀 탈 수 있어요”라고 말하고, 마을 주민들이 모여 놀이터 100일잔치를 열어주는 결과를 만들어 내기까지 과정이 웬만한 드라마 뺨칩니다. 그리고 이를 만들어 낸 건 ‘귀’와 ‘눈’이었습니다. 듣고 또 듣고 또 들었다지요. 아이들, 동네 주민들과 함께 한 워크숍만 25차례입니다. 아이들이 어떤 놀이를 좋아하는지 함께 놀고 의견을 나눴습니다. 이 시간을 거쳐 제 대리가 얻은 소중한 답은 이렇습니다. "좋은 놀이터는? 내 놀이터라고 할 수 있어야 좋은 놀이터다.” 놀이터를 숨 쉬게 만드는 것은 멋들어진 놀이기구가 아니라 사람이었습니다.


    다시 살아난 동네 놀이터 100일잔치. 세이브더칠드런 붉은 조끼를 입은 사람이 제충만 권리옹호팀 대리



      김소민(마케팅커뮤니케이션부)














    SNS공유하기
    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트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