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본적이고 지속적인 변화를 위한 사업을 진행합니다.
10월 11일 세계 여자아이의 날은 전세계 여자아이들이 겪는 다양한 문제들을 조명하고, 여아의 권리와 보호, 기회 확대를 촉진하기 위해 제정된 날입니다.. 여성으로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교육의 기회를 박탈당하고 강제 노동과 조혼, 여성할례, 성폭력, 심지어 명예살인의 피해자가 되어 생존권, 교육권, 성적 존엄과 자기결정권을 보장받지 못하는 여자아이들이 있습니다.
세이브더칠드런은 세계 여아의 날을 맞아 〈2024 글로벌 여아 보고서: 취약한 미래(Fragile Futures)> 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는 여아의 권리를 침해하는 조혼과 국가의 취약성 간의 연결점을 조명하고, 조혼 종식을 위해 취약한 환경 개선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 여아 3,200만 명이 극도로 취약하거나 취약한 상황에 놓인 국가에 거주하며, 30초에 한 명 꼴로 조혼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국가 취약성과 조혼 비율이 높은 이른바 최악의 핫스팟 10개국 중 8곳이 아프리카에 있으며,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차드, 남수단, 소말리아, 에리트리아, 수단, 예멘, 적도 기니, 콩고민주공화국, 아프가니스탄 순입니다. 또한, OECD가 분류한 ‘극도로 취약한’ 15개국에 거주하는 여아 3,600만여 명이 17세 이전에 결혼할 확률은 안정적인 국가에 거주하는 여아보다 두 배 높으며, 극도로 취약한 국가에 거주하는 여아 중 4분의 1에 해당하는 55만 8천 명은 18세 생일 이전에 첫 출산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 청소년 출산에 수반되는 위험에도 불구하고 이 중 상당수는 숙련된 출산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세이브더칠드런은 에티오피아와 부르키나파소에서 여아의 권리를 보호하고 조혼을 예방하고자 유엔인구기금(UNFPA), 유엔아동기금(UNICEF) 등 국제기구와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협력해 약 59억 원 규모의 인도적지원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지속적인 분쟁, 기후위기 등으로 인도적 위기가 심각한 실향민 및 호스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아동 청소년 35만 명을 포함해 약 63만 명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에티오피아는 분쟁과 기후위기로 450만 명가량의 실향민이 발생했으며,, 세이브더칠드런은 2022년부터 오로미아 지역에서 아동보호 위원회를 조직해 조혼 101건과 여성 할례 83건을 조기 방지했으며, 교내 클럽을 조직해 여아 1만 4,749명을 대상으로 인식개선에 나섰습니다. 기후위기로 가뭄 피해가 심한 소말리 지역에서는 2023년부터 아동보호 서비스를 개선해 성·젠더기반 폭력을 포함한 아동보호 사례 579건을 지원하고, 아동이 월경 기간 동안 학교를 결석하지 않도록 생리용품이 포함된 존엄성 키트 2,200개를 제공했습니다.
부르키나파소는 지속적인 무장단체의 테러로 인도적 위기가 고조된 국가입니다. 세이브더칠드런은 사헬 및 북부 지역에서 성·젠더기반 폭력 생존자 130명을 대상으로 사례 관리를 통해 식량, 위생 키트, 생리용품 등을 지원했으며, 폭력 피해 아동 52명에게 가구 단위의 생계 지원을 제공했습니다. 또한 성매매, 무장단체 참여 등으로부터 아동과 여성을 보호하고자 지역 주민 1,855명을 대상으로 인식 개선 활동을 펼쳤으며, 여성과 청소년의 자립 능력 강화를 위한 리더십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세이브더칠드런 코리아 인도적지원팀 장설아 팀장은 “극도로 취약한 국가에 거주하는 여아는 조혼과 폭력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전통적인 젠더 규범에 따라 권리가 제한된다. 특히, 분쟁과 기후위기로 실향민이 된 아동은 제대로 된 보호를 받지 못한 채 가정 폭력, 인신매매, 성폭력 등의 위험이 증가한다. 세이브더칠드런은 취약성이 높은 에티오피아와 부르키나파소의 실향민을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해 여아를 폭력으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교육과 생계 지원을 통해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의사결정에 참여를 확대하고자 한다. 조혼, 할례 등 여아에게 부과되는 불평등한 폭력이 근절될 수 있도록 지원해나갈 예정이다”고 설명했습니다.
▶ 〈2024 글로벌 여아 보고서: 취약한 미래(Fragile Futures)>
▷ 조혼 근절을 위한 방글라데시 모자보건사업, 사회적 행동 변화 커뮤니케이션으로 만드는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