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사업

모든 아동은 건강하게 자라 배움의 기회를 누리고 적절히 보호받으며 성장할 권리가 있습니다.
세이브더칠드런은 아동의 건강, 교육, 보호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서,
100여개가 넘는 국가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전세계 아동이 겪는 현실
예방가능한 질병으로
사망하는 5세 미만 아동
5백만명
빈곤에 처한 아동
10억명
제대로 배우지 못하는 아동
4억 5천만명
분쟁상황에서 생활하는 아동
4억명
아동을 위한 세이브더칠드런의 다짐
건강한 일생의 시작 Healthy start in life
안전하게 학교에서 배울 수 있도록! Safely go to school and learn
모든 종류의 폭력으로부터 보호 Live free from violence
아동의 가정에 회복탄력성과 안전망 제공 Grow up in resilient families
Injustices children face today:
5 million children
under age 5 die per year from
preventable and treatable causes.
1 billion children
live in proverty.
450 million children
are not learning.
400 million children
grow up in confict.
We will amplify impact for hundreds of millions more
Children across more than 100 countries, ensuring they
Get a healthy start in life
Can safely go to school and learn.
Live free from violence.
Grow up in resilient families.
세이브더칠드런은 아동 분야에 있어
전세계 최고의 전문가입니다.
We are the world’s leading expert on childhood.
아동이 살아가기에 가장 험한 곳,
가장 멀고 소외된 곳을 찾아갑니다.
We work in the hardest-to-reach places, where it’s toughest to be a child
전 세계 23억명 아동의 권리를 옹호합니다.
We Champion the rights to the world's
2.3 billion children
전세계 사업현장에서 증명된 방법론을
활용하여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Best known solutions for children
이전 대표사업
다음 대표사업
사업소식
14
[Global] Unprecedented one million people on the move from Lebanon
2024-10-04
펼치기
공유하기

9월 23일, 이스라엘 정부는 레바논에 무차별 폭격을 감행했습니다. 레바논 보건부는 23일 이후 약 100여 차례에 달하는 이스라엘군의 공습으로 아동 50명을 포함해 600명 이상이 사망했으며, 2023년 10월 전쟁이 발발한 이후 현재까지 약 1,600명이 공습으로 사망했다고 전했습니다. 미사일은 민간인이 사는 지역을 가리지 않고 맹폭 중이며, 공격 범위가 점차 레바논 전역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레바논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정당이자 무장단체인 헤즈볼라의 척결을 목표로, 지상 공격을 불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스라엘과 헤즈볼라는 2006년에 이미 한 차례 전쟁을 벌인 후 지금까지 분쟁이 끊이지 않았으며, 작년 10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발발 이후부터 산발적인 공격을 주고받아 왔습니다. 이렇게 오랫동안 지속된 긴장 상태가 결국 이번 무차별 공습으로 폭발해버렸고, 죄 없는 아이들의 삶이 희생되고 있습니다

 

100만 명에 달하는 사상 유례 없는 인구 이동과 이스라엘 군대의 새로운 이주 명령으로 인해 레바논 사람들은 주거지, 당장 안전하게 있을 곳을 찾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레바논에서는 현재 최소 100만 명(전체 인구의 5분의 1)이 집을 떠나 피난길에 올랐으며, 그중 절반은 지난 4일 동안 집을 떠났습니다.

--

Struggling to house families with an unprecedented one million people on the move and new relocation orders issued by Israeli military forces

 

At least one million people in Lebanon – a fifth of the population – are now displaced, with half leaving their homes in the past four days.

 

BEIRUT, 2 October 2024 – Families fleeing violence in Lebanon are struggling to find safety in shelters across the country with at least one million people – a fifth of the population - now displaced with half leaving their homes in the past four days, Save the Children said.

Numbers are expected to swell following new relocation orders issued by Israeli forces on Tuesday, demanding residents in more than two dozen villages in the south of Lebanon to relocate north of the Awali River, approximately 50 km into the country.

The beginning of ground military operations has been widely reported by media as well as air attacks across Lebanon, including strikes on Ein El Helwe, the largest refugee camp in Lebanon, that reportedly killed seven people, including 4 children.

The speed of the crisis is placing immense pressure on hospitals, with over 37 Primary Health Care Centres forced to close due to safety concerns, while airstrikes have severely damaged 25 water facilities, leaving 300,000 people without access to clean water.

Over 154,000 displaced people are currently taking refuge in 851 active shelters, including public schools, with 70% of them already at full capacity, and only some equipped with proper showers, sanitation facilities, hot water and heating. Others are staying with host families, often in overcrowded conditions.

 

Since 23 September, Save the Children has distributed relief items to over 27,000 individuals, including 11,000 children, across 70 shelters, such as blankets, mattresses, hygiene kits, and bottled water. Distributions are ongoing in the North, Bekaa, West Bekaa, Rashaya, Mount Lebanon, Saida, Sour, and Beirut.

The rate of displacement is unprecedented. During the 2006 Lebanon-Israel conflict, a similar number of people were forcibly displaced – over 970,000 – over the course of one month.

According to media reports, about 60,000 Israelis have been displaced from their homes in northern Israel.

Almost 2,000 people have been killed by Israeli airstrikes in Lebanon, including 104 children, and over 8,000 have been injured, according to Lebanon’s Ministry of Health.


Ahmad*, 37, a father of daughters aged two years and seven months, spent a day on the road seeking safety and is now staying at a shelter in Mount Lebanon. He said:

“My wife and I are terrified about what might happen next. We’re scared for our daughters. What if something happens to them? And if something happens to us, what will become of them? Our 7-month-old cries constantly because she senses our fear; she can tell her mother is frightened, and now we’re passing that fear on to her and her two-year-old sister.

“We need diapers and baby food, proper clothes, and basic necessities. We couldn’t bring anything with us, we barely managed to grab our children and ran for our lives.”

 

Abir* is a 35 -year-old mother of 3 children, aged 10, eight and five. Her family fled their village in the south after it was bombed and is now staying in a shelter supported by Save the Children in Mount Lebanon. She said:

“It breaks our hearts to have left our home, but we had to put our feelings aside for the sake of our children. Our village, which had never been targeted before, was bombed, and our children were already terrified by the sonic booms and fake raids.

"I barely managed to pull myself together. We had prepared a bag, knowing for almost a year that we needed to be ready, but nothing could have prepared us for the carnage that erupted on 23 September. It took us a full day to travel from South Lebanon to Mount Lebanon, an exhausting journey with no final destination. At first, we had no idea where we were heading; all my husband knew was that we had to escape as quickly as possible. I worry about how my children will cope with all of this. I know the scars this experience will leave on them, and it weighs heavily on my heart.”

 

Jennifer Moorehead, Save the Children’s Country Director in Lebanon said:

 

“Children all over the country are affected by this escalating violence, their lives turned upside down almost overnight as they lose their home and sense of safety. There are families in shelters, but also so many still in their cars or in the streets of Beirut, looking for some place to go. The sense of terror is palpable. Our teams are saying that more than anything, families are paralysed by the fear of the unknown.

 

"Children will be disproportionately affected by this armed conflict. As in all recent armed conflicts, children will number too many among casualties. 

 

"Schools are closed, shelters and hospitals in Lebanon are under growing pressure, and we are doing our best to support displaced families, but with the launch of ground military operations in southern Lebanon, we are now inevitably going to see even more large-scale forced displacement and destruction.

 

"Children’s lives in Lebanon and in the whole region are hanging in the balance. We call for an immediate ceasefire to prevent further suffering, ensure safe humanitarian access, and stop the conflict from escalating further across the region.”

 

Save the Children has been working in Lebanon since 1953. Since October 2023, we’ve been scaling up our response in Lebanon, supporting displaced Lebanese, Syrian and Palestinian children and families, and now have escalated an emergency response throughout the country in 70 shelters. Since October 2023, we’ve supported 71,000 people, including 31,000 children, with cash, blankets, mattresses and pillows, food parcels, water bottles and kits containing essential hygiene items.


 기사원문보기

무차별 폭격을 받는 레바논 아이들을 구하기 위한 세이브더칠드런 활동 참여하기

 


13
‘국제 평화를 위한 대한민국의 역할’ 국회 포럼 개최
2024-09-23
펼치기
공유하기

국제 평화를 위한 대한민국의 역할: 유엔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서 분쟁 피해 아동 보호를 위한 역할’을 주제로 19일(목)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포럼이 개최되어습니다. 이번 포럼은 오는 9월 21일 세계 평화의 날을 앞두고 국회 글로벌 지속가능발전·인도주의 포럼, 월드비전과 함께 전 세계가 직면한 인도주의적 위기와 시민단체의 인도적 지원 활동에 대한 국회의 인식을 높이고, 국제 평화 구축을 위한 국가의 역할과 책임을 촉구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특히 한국이 2024년부터 25년까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됨으로써, 국제 분쟁과 평화, 안보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기에 더 의미있는 자리였습니다.


 

세이브더칠드런은 이번 포럼의 주제 발표에 앞서 전쟁을 반대하는 아동이 직접 참석해 목소리를 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분쟁지역 아동의 일기에 답하며 장기화하는 분쟁 속 아동의 인권 침해 상황을 알리고 이를 막기 위해 마련된 캠페인인 ‘전쟁을 멈추는 동심일기’의 일환으로, 와지드(아프가니스탄, 12세), 세나(아프가니스탄, 10세), 라파(수단, 12세) 등 분쟁국 출신 아동 3인과 한국의 김민재(18세) 아동이 분쟁지역 아동의 일기를 통해 상황을 알리고, 전쟁이 멈추기를 바라는 마음을 글로 써 발표했습니다.

 

또한 참가 아동들은 세이브더칠드런이 지난해 10월부터 진행하고 있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전쟁의 휴전을 촉구하는 서명을 전달했습니다. 이어서는 박주민 외교부 인권사회과장의 ‘분쟁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과 릴리안 도조 월드비전 동아프리카 지역 총괄 책임자의 ‘분쟁 취약국 수단 아동의 현실’, 레이첼 커밍스 세이브더칠드런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인도적지원 총괄의 ‘분쟁지역 아동 권리 실현’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레이첼 사무소장은 가자지구에서 직접 마주한 아동과 가족의 실제 사례를 전하며, 분쟁지역 아동의 권리 실현을 위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인도적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어서는 국제 평화를 위한 대한민국의 역할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남승현 외교안보연구소 글로벌거버넌스 연구원 교수를 좌장으로, ▲ 박주민 외교부 인권사회과장, ▲ 윤 그라네 헤틀란드 주한노르웨이대사관 부대표, ▲ 엠마 켐벨 국경없는의사회 한국 사무총장, ▲ 자밀라 함마미 국제적십자위원회 한국사무소 대표, ▲ 남상은 월드비전 세계시민학교 옹호실 실장이 참석해 분쟁 피해 지역 아동의 교육권 보호 및 안전한 학교 선언, 보건, 인도주의 활동 지원, 안전 이슈 등 유엔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서 정부 차원의 노력에 무게를 둔 논의를 펼쳤습니다. 이후 토론 내용에 대해 박주민 외교부 인권사회과장은 “무력분쟁에서의 아동보호를 위한 감시 및 보고체계를 강화하고, 더불어 한국이 파병하는 유엔평화유지군 활동에 아동보호 임무를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세이브더칠드런이 발표한 '아동에 대한 전쟁을 멈춰라(Stop the War on Childnre)'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 아동 4억 6천만 명 즉, 5명 중 1명의 아동이 분쟁 지역에 살고 있으며, 이 중 2억 3천만 명이 전투로 사망한 인구가 1천 명 이상인 전쟁 지역에 살고 있습니다. 올 6월 유엔은 ‘아동과 무력충돌 연례 보고서(Children and Armed Conflict report)’를 통해 지난해 분쟁에 의한 아동의 중대 침해가 전년 대비 21% 상승한 3만 2천900건으로, 역대 가장 높은 수치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된 최소한의 수치로, 실제 피해 아동은 더 많을 것으로 예상해 분쟁 지역 아동 보호를 위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절실한 현실입니다.


▶ 2023 UN Children and Armed Conflict 보고서 보기

▷세이브더칠드런의 ‘Stop the War on Children’ 캠페인

12
[Global] Education is a Lifeline in Emergencies
2024-08-27
펼치기
공유하기

전세계 수백만 명의 아이들은 분쟁과 긴급 위기 상황 때문에 교육을 받을 기회를 잃고 있습니다. 약 1,500만 명의 난민 아동들이 집을 떠난 후 학습이 중단되었습니다.

 

재난과 분쟁으로 고통받는 아동들에게 교육은 안정감과 보호를 제공하고, 정상적인 삶으로 회복하는 데 중요한 역학을 합니다. 위기 상황에서 아이들에게 교육을 제공하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세이브더칠드런은 분쟁과 재난 위기를 겪은 상황에서도 다양한 교육 방식과 자원을 통해 이를 해결하려고 노력합니다. 또한, 안전한 학습 공간과 교육 자료, 교사 훈련 등을 통해 학습이 지속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긴급 상황의 초기 단계에서 교육은 아이들을 보호하고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폭발물로부터 안전을 지키는 법이나 질병 확산을 막는 방법과 같은 중요한 생명을 구하기 위한 지식을 제공하며, 안정감을 주고 인지 능력을 회복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세이브더칠드런의 안전한 공간(Safe space)은 극도의 고통에 시달리는 아이들에게 중요한 심리적 지원을 제공합니다. 표현 예술, 문제 해결 게임, 간단한 호흡법과 같은 학습 활동을 통해 아이들이 정서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친구들과 안전한 어른들의 지원 속에서 함께 배우고 노는 단순한 일상이 아이들의 웰빙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후 점차적으로 읽기와 쓰기 같은 학문적 학습을 도입합니다.


위기 상황에 처한 지역의 아이들에게 교육은 매우 중요하며, 학교로 돌아가 학업을 지속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그리고 우리들에게 가장 큰 관심사입니다. 전 세계에서 긴급 상황을 겪고 있는 아이들에게 생명을 구하는 학습이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아래 기사 본문을 통해 네 명의 인도주의자들의 경험을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 “Education is a Lifeline in Emergencies” 기사 원문 보기

 

▲ 가자지구 세이브더칠드런 학습공간에서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아이들

Shadi* (8) and his cousin Aya* (13) attend's Save the Children's learning space in Gaza. Sacha Myers / Save the Children Sacha Myers / Save the Children

 

As many children across the world head back to school, millions of children are being robbed of their education by conflicts and emergencies.

 

As many children across the world head back to school over the coming weeks, millions of children are being robbed of their education because they are caught up in conflict and emergencies. Nearly 15 million refugee children have had their learning interrupted after being forced to flee their homes.

 

In the first phase of an emergency, education can protect children and save lives. It can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and a chance to regain essential cognitive skills, as well as essential lifesaving learning like how to stay safe from unexploded bombs or how to prevent the spread of disease. 

 

Our Safe Spaces provide vital psychosocial support to children who may be in extreme distress. Learning activities like expressive art, games to practice problem solving, and simple breathing techniques help children to recover emotionally. The simple routine of learning and playing with friends with support from safe adults is key to children’s wellbeing. We then gradually introduce more academic learning like reading and writing.

We also know that education is important to children from crises-affected countries, with going back to school ranked as their highest concern. 

 

We have asked four humanitarians to share their experiences of how lifesaving learning can help children from across the world who are living through emergencies:

 

For more details, you can read the full article here.

11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탈레반 집권, 로힝야 난민 위기,, 복잡성이 더해가는 인도주의적 활동
2024-08-20
펼치기
공유하기

8월 19일은 세계 인도주의의 날입니다.

 

전쟁과 분쟁, 재해, 재난 등으로 인해 인도적 위기에 처한 사람들의 생명을 구하고 보호하며 지원하며 활동하는 인도주의 활동가들의 노고를 기리는 날로, 2003년 이라크 바그다드의 유엔본부에서 공격을 받아 사망한 22명의 활동가들을 기리기 위해 2008년 유엔총회에서 테러사건일이 인도주의의 날로 제정되었습니다.

 

갈수록 증가하는 지정학적 갈등과 국제인도법 위반 사태, 끊이지 않는 분쟁과 전쟁, 재해, 재난으로 인도주의적 위기와 인도주의 활동의 규모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번 일어난 분쟁과 위기는 발생한 순간에는 전세계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어느샌가 잊혀지지만 현장의 위기는 계속되고 있으며, 기후변화, 식량위기, 펜데믹을 포함한 복합적이고 장기적인 위기로 복잡성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2년 6개월에 접어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유엔의 자료에 따르면, 이번 전쟁으로 우크라이나에서 3만 2천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이 중 1천8백 명이 아동이다. 전쟁으로 2022년에는 우크라이나인 약 3분의 1이 피난을 떠나면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가장 큰 규ㅅ모의 민간인 피난을 기록했다. 현재 우크라이나인 650만 명이 난민으로 기록됐으며, 추가로 350만 명이 국내 실향민으로 등록돼 있다.

 

세이브더칠드런은 최근 보고서 평화로운 하늘을 원해: 전쟁 중 우크라이나 교육과 아동 복지(I Want a Peaceful Sky: Education and Children’s Wellbeing in Wartime Ukraine)를 통해 2년 넘게 지속된 전쟁이 우크라이나 아동의 교육과 정신 건강에 미치는 지속적인 영향을 밝혔다. 연구는 학생과 보호자, 교사 등 약 1,500명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하며, 인터뷰에는 전쟁의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지역을 포함한 12개 지역의 포커스 그룹이 포함됐다.

 

우크라이나 대다수의 도시는 물론 특히 최전방은 학교와 발전소를 포함해 민간 기반 시설이 폭격의 목표물이 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의 전선 지역 6곳(체르느히우, 하르키우, 도네츠크, 드니프로, 자포리자, 므콜라이우)에 거주하는 아동 334명 중 221명(64%)이 학교에 가지 못하고 온라인 수업만 참여하고 있다. 직접 학교에 가는 비율은 15%에 불과하며, 17%는 학교 출석과 원격 학습을 함께 이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2023년 기준, 6곳의 전선 지역에는 약 97만 3천 명의 학령기 아동이 등록되어 있다.

 

우크라이나 전선 지역의 학교들은 공습과 포격, 공중 폭격의 위험으로 문을 닫았으며, 전국의 많은 교육 기관이 대피소 부족으로 재개하지 못하고 있다. 이번 전쟁으로 최소 3천 개의 교육 기관이 피해를 입었고, 300개 이상이 파괴됐다. 이는 전체 우크라이나 학교의 10% 이상을 차지한다.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의 학령기 아동 중 절반에 가까운 약 190만 명이 전면 또는 부분적으로 원격 교육에 의존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집권 3년

 

2021년 탈레반이 정권을 장악한 지 3년이 된 아프가니스탄에서 극단적인 기후 현상으로 피난민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국제아동권리 NGO 세이브더칠드런은 2024년 상반기 동안 아프가니스탄에서 기후위기로 인한 피난민의 수가 2023년 전체 기후 피난민 수를 초과했다며 우려를 표했다.

 

2024년 6월 27일 기준, 지난 180일 동안 아프가니스탄에서 극단적인 기상 현상으로 피난한 사람이 최소 3만 8천 명에 달하며, 이 중 절반이 아동이다. 국제이주모니터링센터(IDMC)의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아프가니스탄에서 가뭄, 홍수, 산사태, 눈사태, 태풍, 기상 이변으로 이주한 사람이 2023년 전체 기후 피난민 수인 3만 7천 명을 넘어섰다.  특히 올해 초 발생한 파괴적인 홍수의 여파가 더해지지 않은 까닭에 실제 수치는 더 높아질 수 있다. 2023년 말 기준, 아프가니스탄에서 기후 재난으로 집을 잃은 아동은 총 74만 7천 94명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숫자이다.

 

아프가니스탄의 경우, 지난 반세기 가까이 끊임없는 분쟁으로 이주민 숫자가 많이 늘어났으나, 2022년 이후 기후 재난이 본격화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유엔 국제이주기구(IOM)는 아프가니스탄의 재난 중 가뭄을 기후 피난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미국 노트르담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은 차드,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에리트레아, 콩고민주공화국, 기니비사우, 수단에 이어 전 세계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에 가장 취약한 나라이지만, 위기 대응 및 기후 적응에 실패하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기후 충격과 식료품 가격 상승으로 아프간인 3명 중 1명은 통합 식량 안보 단계 분류(IPC) 3단계인 ‘위기’ 수준의 심각한 기아에 시달리고 있으며, 34개 주 중 25곳에서 최악의 가뭄이 계속돼 인구의 절반 이상이 피해를 보고 있다.

 

 

7년에 접어든 로힝야 난민 위기

 

2017년 미얀마 군부의 박해와 폭력을 피해 탈출한 로힝야족이 방글라데시 콕스바자르 난민캠프에 머문 지 7년이 지났다. 국제아동권리 NGO 세이브더칠드런은 폭력과 범죄가 급증한 로힝야 난민 캠프에서 아동이 두려움에 떨고 있다고 경고했다.

 

세이브더칠드런이 지난 5월부터 6월까지 73명의 로힝야 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현재 방글라데시 콕스바자르 난민 캠프에서 몸값을 노린 납치, 유괴, 무장단체 징병 등 아동을 대상으로 한 폭력이 증가했다. 로힝야 난민 캠프의 치안이 악화함에 따라 아동과 가족들은 특히 밤에 지속적으로 두려움을 느낀다고 답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48%가 범죄와 폭력으로 안전에 우려가 되며 37%는 밤에 혼자 있을 때 안전하지 않다고 느꼈다. 지난 조사 기간 동안 치안 문제로 집 밖에 나서기 어려워진 로힝야 난민의 현금 지원, 교육 센터, 보건소 등 필수 서비스 이용률이 감소했다.

 

난민 캠프 내 치안 불안감이 지속되며 강제 결혼에 내몰리는 아동도 늘고 있다고 보고됐다. 무장단체가 로힝야 여성과 여아를 대상으로 결혼을 강제하고 있다는 증언이 나오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부모들이 성폭력에서 딸을 보호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결혼을 시킨다는 주장도 있다..

 

현재 방글라데시 콕스바자르 로힝야 난민 캠프에는 100만 명에 달하는 로힝야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중 절반이 아동이다. 7년간 로힝야 난민 아동은 공식적인 교육을 받지 못했으며 부모와 보호자는 직업을 구하지 못해 생계에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밀집도가 높은 난민촌 내에서 화재와 홍수 및 산사태가 빈번히 발생하는 탓에 취약한 상황에 내몰렸다. 더 나은 삶을 찾아 목숨을 걸고 탈출을 시도한 로힝야 난민이 탄 보트가 바다에서 전복되며 사망하는 사고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6월 발생한 화재로 전소된 방글라데시 콕스바자르 로힝야 난민캠프 13구역 전경[사진=세이브더칠드런]

 

세이브더칠드런은 2017년부터 로힝야 난민 아동과 가족을 위해 교육, 건강 및 영양, 물, 공중 위생 증진, 보호소, 음식 등 인도적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다. 콕스바자르 난민캠프 33곳 중 29곳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아동 32만 명을 포함해 60만 명의 로힝야 난민을 지원해 왔다. 세이브더칠드런 코리아는 2017년부터 로힝야 난민을 대상으로 약 30억 4천만 원 규모의 인도적지원 사업을 진행했으며, 이 중 13억 원 규모로 2023년부터 올해까지 로힝야 난민과 수용 국가의 취약 가정 대상 아동보호와 생계지원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 전쟁의 폭력, 재난 등 긴급구호 현장에서 ‘아동을 우선(Child First)’ 구하기 위한 '아이 먼저 캠페인' 참여하기

10
[Global] How does extreme heat impact children?
2024-07-24
펼치기
공유하기

매년 여름 역대급 갱신되는 뜨거운 무더위로 힘겨워 하고 있는 가운데, 점점 뜨거워지는 기후가 전세계 아이들에게는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요?

이브더칠드런과 브뤼셀 자유대학교의 공동 연구 보고서 <Born into the Climate Crisis>에 따르면, 2020년에 태어난 아이들은 이전 세대보다 7배 더 많은 폭염에 노출될 것으로 예상되며, 폭염은 대표적으로 아이들의 기본적인 권리에 대해 아래 5가지 영향을 미칩니다.

  1. 교육 방해: 폭염으로 인해 학교가 문을 닫거나, 더운 날씨로 집중력이 떨어져 학업 성취도가 낮아집니다.
  2. 건강 위험: 탈수, 탈진, 열사병 등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키며, 장기적으로는 호흡기 질환과 신장 질환 위험이 커집니다.
  3. 기아 유발: 폭염으로 농작물 실패와 가축 폐사로 식량이 부족해져 아이들이 필요한 영양을 섭취하지 못합니다.
  4. 놀이 제한: 더위를 피하기 위해 실내에 머물게 되면서 신체 활동과 친구들과의 놀이 등 중요한 발달 활동이 방해받습니다.
  5. 정신적 고통: 기후 위기의 영향을 경험하는 것이 어린이들의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Roksana,34, carrying daughter Rumi, 5, crossing land during a heatwave in Bangladesh. Save the Children.


This past year we have seen record-breaking temperatures across many countries in Asia, Europe, the Americas and Africa, with children affected by poverty,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disproportionately affected.

A research report released by Save the Children in partnership with Vrije Universiteit Brussels, Born into the Climate Crisis, found children born in 2020 face on average 7 times as many scorching heatwaves as their grandparents!

 

Here are 5 ways extreme heat is impacting children:

1. EXTREME HEAT DISRUPTS CHILDREN’S EDUCATION

Heatwaves have led to schools closing around the world.

Even when children can go to school, the heat can affect their concentration. Research shows that students have lower levels of achievement during hot school years.


2. EXTREME HEAT PUTS CHILDREN’S HEALTH AT RISK

Extreme heat can cause severe dehydration, exhaustion and heatstroke.

The more that children are exposed to extreme heat, the greater they are at risk of respiratory disease, kidney disease and other health hazards.


Jose Alejandro, 8, drinks water from a recycled water tap in Bolivia. Adriana Loureiro Fernandez / Save The Children


3. EXTREME HEAT LEADS TO HUNGER

Extreme heat is leading to crop failures and the death of livestock.

This makes food more scarce and pushes up prices meaning many children and their families cannot get the nutrition they need.


4. EXTREME HEAT STOPS CHILDREN FROM BEING ABLE TO PLAY

Heatwaves force children to stay inside to keep cool, stopping them from going outside to play.

This prevents them from being able to do activities critical to their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such as physical exercise, sports, and playing with friends.


5. EXTREME HEAT CAUSES CHILDREN PSYCHOLOGICAL DISTRESS

Feeling the effects of the climate crisis can badly impact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ll over the world.

Research has shown that children and young people are worried about the future they will inherit, which they say is negatively affecting their daily life and functioning.



▷기사 원문 보기

기후위기가 아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Born into the Climate Crisis: Why we must act now to secure children’s rights> 보고서 보기

해외사업 관련 활동이 궁금하세요?
아프리카에 빨간염소 보내기
사라지지 않고, 자라나고 살아나는 후원
네팔 기초교육지원 사업보고
행복을 부르는 주문, 쿠시(KHUSEE) 프로젝트
당신과 함께 한 아이라도 더
아이 먼저 캠페인
상단으로